> Information Security/Cryptology
-
암호의 개념, 치환암호와 전치암호> Information Security/Cryptology 2012. 12. 23. 12:11
암호 (Cryptography) - 암호의 의미 : 주어진 사람이 아닌 제 3의 사람이 읽을 수 없는 문장을 만드는 것. 1. 치환암호 (Substitution cipher) - 문자를 다른 문자로 치환하는 것 - 고대암호인 시저암호(Caesar cipher)가 이에 해당 ※ 시저암호(Caesar cipher) : 줄리우스 시저(Julius Caesar)가 사용했다는 암호. A B C D ..... X Y Z C DE F..... Z A B->시저 암호에서는 알파벳을 평행이동시킨다.여기에서 키는 2 (평행이동시키는 문자의 수) (1) 단일치환암호 (Simple Substitution Cipher) - 1:1 치환 ※ 단일치환암호의 해독 - 전사공격으로 해독하는 것이 어려움 - 빈도분석에 의한 암호해석: ..
-
대칭키 암호를 이용한 해쉬함수에 대한 공격기법> Information Security/Cryptology 2012. 5. 28. 00:48
대칭키 암호를 이용한 해쉬함수에 대한 공격기법 (1) 생일공격(Birthday Attack) 생일공격은 서명문의 길이가 해쉬값 보다 훨씬 길 경우에 충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에 이러한 해쉬 함수의 특징 중 충돌 회피성을 만족하기 위한 조건을 충족한다. 충돌회피성의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해쉬 값 H를 갖는 서명문 M과 M’을 찾는 것이 어려워야 하는데 생일공격은 이러한 M과 M’을 찾는 것을 구할 수 있게 한다. 생일공격은 생일모순에 근거하여 해쉬 함수를 공격하는 방법이다. n명의 사람들 중, 동일한 생일을 가지는 2명이 존재할 확률을 P(n), 동일한 생일이 없는 경우를 Q(n)이라고 했을 때, 의 연산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생일 모순은 임의로 모인 23명 중 생일이..
-
대칭암호방식의 사용현황> Information Security/Cryptology 2012. 5. 28. 00:45
대칭암호방식의 사용현황 이러한 대칭암호 방식을 이용한 해쉬함수의 사용은 대표적인 예로 전자서명을 들 수 있다. 현재 해쉬함수를 이용한 전자 서명시 사용되는 공개 키 암호방식은 암호화, 복호화 과정의 소요시간이 너무 길고 안정성이 낮다. 따라서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원래보다 짧은 길이로 압축하여 바꾸어 놓은 뒤 전자서명을 생성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공개키로 받아온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압축한 후에 개인키로 변경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해쉬함수는 효율성 보다는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식을 부가형 서명방식이라고 한다.
-
대칭키 암호를 이용한 해쉬함수> Information Security/Cryptology 2012. 5. 28. 00:43
암호학 적으로 안전한 해쉬함수를 만드는 방안으로 기존의 블록 암호 방식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대칭키 암호를 이용한 해쉬함수에서는 블록 암호 방식을 사용한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서명문 블록을 암호방식의 암호키로 사용하고, 전단의 해쉬값을 입력으로 새로운 해쉬를 출력하는 방법이 있다. [그림] 블록 암호방식을 이용한 일반적인 해쉬함수 블록 대칭 암호 방식을 이용한 해쉬함수를 일반화 하는 경우에는 3가지 변수가 4가지 값을 가질 수 있으므로 64가지의 해쉬함수가 존재할 수 있다. 그중 15가지는 하나의 입력에 대하여 하나의 출력이 나타나지 않으며 37가지는 안전하지 못하다. 블록 대칭 암호방식을 이용한 해쉬함수로 안전한 방식은 총 12가지가 있으며 모든 ..
-
DES(Data Encryption Standards)와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s)> Information Security/Cryptology 2012. 5. 28. 00:37
DES(Data Encryption Standards)와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s) (1) DES(Data Encryption Standards) [그림] DES의 암호화 구조 DES는 1973년 NBS 표준 암호로 공모되었고, 1977년 미 연방정부의 표준암호로 채택되었다. 현재는 쓰이지 않고 있는 암호방식이다. DES는 64bit 평문 블록을 64bit 암호문 블록으로 암호화한다. 이 때 사용되는 키의 길이는 마찬가지로 64bit이다. 대칭 암호 방식이므로 DES는 암호화와 복호화에 같은 키를 사용하고 있으며 총 16라운드로 구성되어 암호화 속도가 비교적 빠른 편이다. (2) AES (Advanced Encryption Standards) [그림]AES의 암호화과정..
-
대칭 암호 방식(Symmetric Cryptographic Technique)> Information Security/Cryptology 2012. 5. 28. 00:34
대칭 암호 방식(Symmetric Cryptographic Technique) 암호 방식은 암호화와 복호화에 사용되는 키의 기능과 키의 분배, 관리 방법에 따라 관용 암호 방식과 공개키 암호방식으로 분류된다. 관용 암호 방식은 암호화와 복호화에 동일한 키를 사용하고, 암호화와 복호화 과정이 대칭적이어서 대칭 암호 방식이라고도 한다. [그림] 동일한 키를 가진 형태 대칭 암호 방식은 암호화를 할 때에 평문을 비트 단위로 암호화를 하는 스트림 암호와 블록 단위로 암호화를 하는 블록 암호가 있다. 블록 암호의 설계는 구조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 (1) Feistel 구조 [그림] Feistel 암호방식 Festel 구조는 1라운드에서 블록의 반만 변환이 되며, 암호화와 복호화가 같은 logic이다. 또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