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ulture&refinement/한국의 술
-
매화마을 매실막걸리> Culture&refinement/한국의 술 2021. 3. 18. 11:16
- 주류명 : 매화마을 광양매실막걸리 - 주류유형 : 탁주 - 제 조 사 : (주)백운주가 - 제조지역 : 전남 광양시 - 주 재 료 : 쌀, 소맥분, 누룩, 매실, 정제효소제, 아스파탐, 아세팜칼륨 - 알콜도수 : 7% - 구매가격 : 5,000원 - 재료 본연의 향 : ●●○○○ - 술의 쓴 맛 : ●●○○○ - 단 맛 : ●●●●○ - 신 맛 : ●●●○○ - 첫 맛 : 막걸리의 부드러운 맛도 있지만, 약간 되직한 느낌도 - 끝 맛 : 맛의 끝에서 느껴지는 달달한 매실 향 - 재구매 의향 : 중 * 가볍고 매실향이 더 많이 났으면 좋았겠지만, 숙성이 오래된건지 밀도도 높고 당도도 높고, 감미료 향도 강했다. * 광양 매화마을에 가면 꼭 사람들이 사고, 와인 병 처럼 생겨 괜찮은 ..
-
지리산 산삼막걸리> Culture&refinement/한국의 술 2021. 3. 17. 21:01
- 주류명 : 지리산 산삼 생막걸리 - 주류유형 : 탁주 - 제 조 사 : (주)천년주가 - 제조지역 : 전남 광양시 - 주 재 료 : 쌀, 소맥분, 누룩, 산삼배영근, 아스파탐, 효모, 물엿, 구연산, 젖산 - 알콜도수 : 6% - 구매가격 : 5,000원 / 달궁고기 - 재료 본연의 향 : ●●●●● - 술의 쓴 맛 : ●●○○○ - 단 맛 : ●●○○○ - 신 맛 : ●○○○○ - 첫 맛 : 막걸리의 부드러운 맛과 삼의 향이 한번에 어우러지는 맛 - 끝 맛 : 쌀의 맛이 살짝 남는 듯, 또 한잔을 부르는 느낌 - 재구매 의향 : 상 * 개인적으로 삼을 좋아해서 일 수도 있지만, 지리산자락에서 마시는 지리산 산삼막걸리의 맛은 역대 마신 막걸리 중 최고로 손꼽을만한 맛이었다.
-
여행하면서 마셔봐야 할 지역 막걸리&마셔본 막걸리> Culture&refinement/한국의 술 2021. 1. 31. 16:22
경기도 - 광주 참살이 막걸리 - 고양 배다리 쌀막걸리 / 1970년대에 박정희 대통령이 즐겨찾던 막걸리라고 함 - 포천 이동막걸리 / 이동갈비와 함께 마셔보자 > 2014 - 가평 잣생막걸리 > 2013 / 잣의 향 때문에 좋지 않았던 기억 - 안성 진땡이술 강원도 - 주문진 쌀동동주 - 봉평 메밀막걸리 / 메밀전과 막국수에 추천 - 정선 아우라지옥수수 막걸리 - 원주 황골엿술 / 원주의 대부분 식당에서 판매하지만, 정식 허가를 받은 곳이 없어 제각각 맛이 다름 - 양양 송이주 - 홍천 수라생쌀막걸리 충청도 - 단양 대강막걸리 / 2007년 청와대 만찬주 - 흑미막걸리 - 당진 백련막걸리 - 천안 흥타령막걸리 - 공주 알밤막걸리 / 2014 - 수안보 막걸리 경상도 - 울릉도 호박막걸리 / 허가받은 양..
-
시골할매 유자생막걸리> Culture&refinement/한국의 술 2020. 12. 5. 22:01
- 주류명 : 시골할매유자막걸리 - 주류유형 : 탁주 - 제 조 사 : 농업회사법인 시골할매 - 제조지역 : 경상남도 남해군 - 주 재 료 : 정제수, 쌀, 국, 물엿, 유자추출물, 아스파탐, 효모 - 알콜도수 : 6% - 재료 본연의 향 : ●●●●○ - 술의 쓴 맛 : ●○○○○ - 단 맛 : ●●●○○ - 신 맛 : ●○○○○ - 첫 맛 : 막걸리의 부드러운 맛 - 끝 맛 : 맛의 끝에서 느껴지는 유자의 향 - 재구매 의향 : 중 - 장소와 함께한 사람 : 남편과 여행에서 - 함께 곁들인 음식 : 아구포 * 오직 남해에서만 맛볼 수 있는 유자막걸리. 6년 전, 남해여행에 처음 왔을 때 다랭이마을에서 푸른 바다를 바라보며 멍게비빔밥에 한 모금 했던 유자막걸리는..
-
진주 장생도라지> Culture&refinement/한국의 술 2020. 11. 27. 20:09
- 주류명 : 장생도라지 진주 - 주류유형 : 살균약주 - 제 조 사 : 장생도라지 영농조합법인 - 제조지역 : 경남 진주시 - 주 재 료 : 장생도라지 농축액, 쌀, 찹쌀, 누룩 - 수입업자 : 케이비코리아 - 알콜도수 : 13% * 장생도라지는 이성호씨의 다년생도라지 재배법에 의해 지리산자락에서 엄격하게 관리하여 생산되는 품종이라고 한다. * 바다장어구이와 너무나도 잘 어우러지고, 지역 특색을 살린 술 * 술의 쓴 맛이 도라지 향에 감춰져서, 맛있게 마시다가 훅 갈 수도 있는 술 - 재료 본연의 향 : ●●●●○ - 술의 쓴 맛 : ●○○○○ - 재구매 의향 : 상 - 장소와 함께한 사람 : 진주시 유정장어 / 남편과 여행에서 - 함께 곁들인 음식 : 바다장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