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formation Security
-
BurpSuite (프록시 변조 툴)> Information Security/ Web Security 2013. 9. 11. 01:02
본 게시글은 연구목적으로 작성된 글이며, 악의적인 목적으로 이용 시 법적 책임은 자신에게 있습니다. 웹 페이지의 요청과 응답속에서 어떤 메시지가 오고 가는지를 알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세션과 쿠키를 살펴보는 것이다. 지금 소개할 BurpSuite는 사용자가 웹 서버에 요청을 하고, 웹 서버로 부터 응답을 받을 때 중간에서 프록시 서버의 역할과 비슷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포털사이트에 접속하고자 할 때사용자는포털사이트의 웹 서버에 ("웹 페이지를 보내줘!")요청을 보내고, 웹 서버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웹 페이지를 보내준다. 이 때 프록시 서버의 역할은 호스트와 웹 서버 사이에서의 요청과 응답을 중간에서 한 번씩 거쳐가는 역할을 한다.원래는 서버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프록시 서버의 개념이 생겼으..
-
XSS(Cross-SIte-Scripting)> Information Security/ Web Security 2013. 9. 11. 00:41
본 게시글은 연구목적으로 작성된 글이며, 악의적인 목적으로 이용 시 법적 책임은 자신에게 있습니다. XSS (Cross - Site- Scripting) 필터링되지 않은 스크립트문(예 :)이 웹에서 출력되어 스크립트가 실행되는 경우를 말한다. XSS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공격자가 웹 서버에 게시물을 통해 악성스크립트를 업로드하고,사용자는 해당 게시글을 클릭했을 때 악성 스크립트가 실행되는 형태다. 여기에서 악성스크립트가 실행되는 방식에 따라 Stored방식과 Reflective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1. 공격자가 웹 서버에 악성스크립트가 담긴 게시물을 등록한다.2. 이 때 게시물은 웹 서버에 저장된다.3. 사용자가 웹 서버에 요청/응답할 때, 악성스크립트가 실행된다. 1. 공격자는 게시글에 악성스크립..
-
VPN(가상사설망), L2TP, PPTP, IPSEC, SSH, SSL> Information Security/Telecommunication 2013. 1. 25. 16:05
VPN(Virtual Private Network) 가상 사설망.미국에서 시작되었으며, US Sprint와 AT&T에 의해 급속히 확산되었다.VPN이란 인터넷망과 같은 공중망을 사설망처럼 이용해 회선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기업통신 서비스. 인터넷망을 전용선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특수통신체계와 암호화기법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기업 본사와 지사 또는 지사간에 전용망을 설치한 것과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전용선에 비해 20∼80% 이상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즉, 고가의 통신망을 사용하지 않고도 기업 수준의 서비스를 원격지의 이용자/사무질까지 확장하는 개념이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주로 기업 간에 안전하게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며, 암호화와 인증서비스를 제공한다.공중망을 통해 송신..
-
암호의 개념, 치환암호와 전치암호> Information Security/Cryptology 2012. 12. 23. 12:11
암호 (Cryptography) - 암호의 의미 : 주어진 사람이 아닌 제 3의 사람이 읽을 수 없는 문장을 만드는 것. 1. 치환암호 (Substitution cipher) - 문자를 다른 문자로 치환하는 것 - 고대암호인 시저암호(Caesar cipher)가 이에 해당 ※ 시저암호(Caesar cipher) : 줄리우스 시저(Julius Caesar)가 사용했다는 암호. A B C D ..... X Y Z C DE F..... Z A B->시저 암호에서는 알파벳을 평행이동시킨다.여기에서 키는 2 (평행이동시키는 문자의 수) (1) 단일치환암호 (Simple Substitution Cipher) - 1:1 치환 ※ 단일치환암호의 해독 - 전사공격으로 해독하는 것이 어려움 - 빈도분석에 의한 암호해석: ..
-
전자우편 보안, PGP, PEM, S/MIME> Information Security/인터넷 보안 2012. 12. 20. 01:05
> 전자우편에 대한 보안위협요소 - E-mail 내용이 네트워크 전송과정에서 외부에 유출.- 바이러스 프로그램이 첨부되어 전송- 메일서버, E-mail 프로그램의 취약성을 이용에 시스템에 침입 ☞ 이에 대한 위험요소로 인하여 PGP, PEM과 같은 암호화 프로토콜이 필요하게 되었다. 1. PGP(Pretty Good Privacy) - Phil Zimmermann에 의해 개발, 전자우편 보안의 표준- 전자우편을 암호화하고, 받은 전자우편의 암호를 해석해 주는 보안 프로그램.- 전자우편을 마치 편지봉투처럼 만든 것- 분산된 키 인증(키서버)방식 : Web of Trust- 구현은 PEM에 비해 용이하나, 보안성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으로 활용성이 뛰어남. >PGP에서 사용..
-
OSI 프로토콜에서의 암호화> Information Security/인터넷 보안 2012. 12. 20. 00:43
1. SSH(Secure Shell) - 원격 시스템에서 안전하게 통신하기 위해 암호화된 세션으로 연결- FTP, Telnet, rlogin과 같은 프로그램보다 확장된 보안 제공 - 암호기법 : 공개키(IDEA, DES, 3DES, RC4, Blowfish)- 키 교환 : RSA- 전송계층에서 작동 2. SSL (Secure Socket Layer)/TLS(Transport Layer Security) - 인터넷을 통한 개인 메시지의 전송을 위해 Netscape에서 개발한 프로토콜- 브라우저와 웹 서버 사이의 통신 위한 세션 기반 프토토콜 - OSI 7 Layer 중 응용계층과 전송계층 사이에 위치- 암호기법 : RSA 공개키/개인키 암호화 방식 사용(IDEA, DES, RC2, RC4)- 키 교환 : ..
-
Stealth (프로세스 은폐기법)> Information Security/Windows 2012. 6. 11. 19:41
Stealth (프로세스 은폐기법) 스텔스(stealth)는 프로세스를 은폐하는 기법이다. 프로세스를 은폐할 때, 은폐할 대상의 프로세스가 있다면 은폐할 대상 프로세스를 hooking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 프로세스를 hooking 하는 방식이다. 이 때 주변 프로세스에 사용되는 기법은 크게 말하면 API Hooking이 사용되는데, 좀 더 세부적으로 나타내면, DLL 파일을 인젝션시켜 은폐대상 프로세스의 DLL파일의 Code를 수정(API Code Patch)하는 방식이다. 다음은 스텔스 기법을 도식화시킨 것이다. 이 때 프로세스를 API Hooking하게 될 프로그램은 반드시 유저모드여야 한다. 이 유저모드인 프로그램이 API Hooking을 통하여 프로세스에 접근하게 될텐데, 프로그램에 있는 API..
-
API Code Patch> Information Security/Windows 2012. 6. 11. 19:10
API Code Patch API Code Patch를 해석해보면 API의 코드를 수정한다는 의미다. 아래의 API Code Patch의 테크맵을 보면 API Code Patch의 방법을 크게 알 수 있다. API Code Patch는 동적(dynamic)인 방법으로 프로세스메모리의 Code부분에 Injection기법을 사용한다. DLL 파일이 사용되며 CreatRemoteThread라는 API함수가 이용된다. 출처는 www.reversecore.com API Code Patch의 동작 원리다. API Code Patch가 되었을 때 Code의 시작 5byte부분이 JMP XXXXX 로 변경된다. 예로, procexec.exe와 ntdll.dll 파일이 있다고 하자 이때 Stealth.dll 파일을 인젝..